권두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개발이 갖는 의미

혁신형 SMR 기술개발사업단장 김 한 곤

2019년부터 한국수력원자력(주)와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중심으로 논의를 해 오던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이하 i-SMR)이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서 2023년 1월 사업단의 설립을 신호탄으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 2023년에는 개발에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 핵심기술 개발 과제들이 착수되었고, 현재 i-SMR 표준설계가 협약을 마친 상태이다.

자세히 보기

학회소식

2024춘계학술발표회 개최

지난 5월 8일(수) ~ 10일(금)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4춘계학술발표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3일 간 16개의 워크숍과 12개 연구부회 별 650여 편의 학술 논문 발표가 1,850여명의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자세히 보기

특별기고

전기 원가는 얼마인가? - LCOE 무용론

안타깝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정치의 진영화와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에너지 분야에서도 양극단의 논리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를 지지하는 쪽과 원자력을 지지하는 쪽의 갈등이 심한데, 전정권과 현정권의 방향도 극명하게 다르다 보니 에너지 정책의 방향도 이리저리 흔들렸습니다. 기후위기가 심화되고 에너지 전환이 이슈가 되면서 소위 모든 것의 전기화가 중요하다는 건 식자들의 상식이 되었지만, 문제는 남아 있습니다: "미래의 전기 수요는 어떤 기술로 충족시킬 것인가?"

자세히 보기

NET 논문 소개

NET 논문 소개 자세히 보기
Development of a new CVAP structural analysis methodology of APR1400 reactor internals using scaled model tests

저자 : 문종성, 진인성, 고도영, 김규형
원문 : NET, Volume 56, pp. 309–316, 2024

원자로내부구조물은 노심을 지지하고, 냉각수 흐름 경로를 제공하며, 원자로용기 내에서 제어봉과 노내계측기를 안내합니다. 원자로 냉각재의 유동 등 원자로의 운전은 구조적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원자로내부구조물은 정상 및 과도조건에서 이러한 진동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종합진동평가계획(Comprehensive Vibration Assessment Program)의 구조해석은 진동 하중에 대한 원자로내부구조물의 응답을 예측하는 것으로 그 방법론은 벤치마크 또는 다른 합리적 수단을 통해 입증되어야 합니다.

원자력계 소식

전체보기
한국수력원자력, 루마니아 원전 인프라 설계용역 계약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3일(현지시간) 캐나다 캔두 에너지(Candu Energy) 본사에서 캔두 에너지와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1호기의 설비개선을 위한 인프라 설계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자세히 보기

회원사 소식

전체보기
한국원자력연구원 – 세계 최초 원전 폐수지 처리기술 상용규모 공정 실증 성공

월성원전과 같은 중수로(CANDU)에서는 중준위 방사성폐기물로 폐수지가 발생한다. 폐수지는 중수 등의 액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할 때 사용한 이온교환수지※인데, 방사성동위원소인 탄소-14(14C)를 포함하고 있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