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원전 폐수지 처리기술 상용규모 공정 실증 성공 - 중준위 방사성폐기물 ‘폐수지’ 2시간만 처리해도 99% 저준위 폐기물로 전환 - - 처리 과정서 고가의 방사성동위원소(탄소-14)도 회수해 경제적 이윤 창출 기대 -
  • 월성원전과 같은 중수로(CANDU)에서는 중준위 방사성폐기물로 폐수지가 발생한다. 폐수지는 중수 등의 액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할 때 사용한 이온교환수지※인데, 방사성동위원소인 탄소-14(14C)를 포함하고 있다. 방사능의 농도가 높고 양이 많아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 처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발전소 내 저장탱크에 따로 장기간 보관해왔지만, 이번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해결 방법을 찾았다.

    ※ 이온교환수지(IRN150) : 약 1mm 크기의 구슬 형태를 가진 고분자 물질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기능성을 부여한 물질로, 사용한 유기이온교환수지는 물과 함께 폐수지 저장탱크에 보관되어 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선진핵주기기술개발부 박환서 박사 연구팀이 세계 최초, 최대 용량의 중수로 폐수지 처리 상용규모 실증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 o 연구원은 2018년에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한 폐수지 처리 원천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이 기술은 마이크로파로 이온교환수지를 가열해 화학적 구조를 바꿔 탄소-14를 분리하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상용규모 공정(100kg/batch)을 개발해 지난 2월, 월성발전소 내 보관 중인 폐수지를 처리하여 고가의 방사성동위원소 탄소-14를 99% 분리·저감하고 회수했다. 이번 실증은 세계 최초로 안전성을 확인받고 인허가를 거쳐 실제 사용한 폐수지를 상용규모로 처리에 성공한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 중수로를 운영하는 캐나다, 중국, 인도 등에서도 중수로 폐수지 처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실험실 규모에서 실증하는 단계이다. 또, 대부분 폐수지에 전기, 열 또는 산을 가하는 방식으로 저감 처리를 했는데, 이는 과도한 2차 폐기물이 발생하고 처리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 o 반면, 연구팀은 폐수지내 탄소-14를 효과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마이크로파에 주목했다. 마치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가 음식물을 조사해 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 음식물을 데우듯이, 폐수지를 2시간 정도 마이크로파로 조사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 탄소-14가 약 99% 분리되는 것을 확인했다.
  • 연구팀은 실증을 위해 냉장고 크기 정도의 마이크로파 조사 반응기를 발전소 내부에 설치했다. 그 후 폐수지 저장탱크에 있는 폐수지를 옮겨 마이크로파 반응기에 투입했다.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폐수지의 탄소-14가 장치 내부에서 가스 형태로 발생 되고, 이를 흡착장치로 흘려보내면 흡착제가 탄소-14를 회수할 수 있다. 남은 폐수지는 저준위 폐기물로 분류되어 경주처분장에 보내지게 된다.
    • o 국내 중수로에 보관된 폐수지 역시 많은 양의 탄소-14를 포함하는데, 이는 약 1조 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동위원소를 직접 회수하여 국내 산업에 활용하거나 외국으로 수출하는 길이 열린 것이다.
    • o 또한, 폐수지에서 회수한 탄소-14는 농축 과정 한 번만 거치면 의약품 개발에 사용되는 표지화합물의 원료물질로 활용할 수 있다. 기능성 소재 개발과 같은 새로운 4차 산업 소재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어 기대가 크다.
  • 이번 공정 개발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산·학·연이 협업한 것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선광티엔에스(대표 노광준), 울산과학기술원(김희령 교수)이 함께 했다.
    • o 기술개발을 총괄한 박환서 박사 외에 연구원 이기락 박사 연구팀은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발생하는 탄소-14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내부에서만 순환시켜 탄소-14를 고농도로 회수할 수 있는 상용규모 공정시스템을 개발했다. ㈜선광티엔에스는 상용규모 공정장치를 설계·제작해 발전소에서 연구원과 공동으로 실증했으며, 울산과학기술원은 처리시스템의 방사선학적 안전성을 입증했다.
  • 선진핵주기기술개발부 류재수 부장은 “이번 중수로 폐수지 처리기술은 방사성폐기물의 문제를 해소하는 중요한 연구 결과 중의 하나”라며, “새롭고 혁신적인 방사성폐기물처리 공정기술과 관리기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연수연구원 아시아-오세아니아 방사선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이진경)은 이유리 연수연구원이 지난 3월25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제22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방사선학회 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제22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방사선학회 학술대회(AOCR 2024, 22nd Asian Oceanian Congress of Radiology 2024) 아시아-오세아니아 방사선학회 젊은 연구자상(Young Scholarship)은 매년 우수한 연구 결과를 발표한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40세 미만 젊은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한국원자력의학원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연 협동과정 재학 중에 있는 이유리 연수연구원은 인체 결합조직 섬유세포에 생기는 악성종양인 섬유육종 치료를 위한 방사선 병용 방사선 민감제*의 항암 효능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하여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유리 연수연구원은 “의학원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정연경 박사님의 책임 지도하에 관련 학계와 꾸준한 소통으로 큰 성과를 거둘수 있었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방사선 민감제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암 치료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하겠다”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KINAC-샌디아국립연구소(SNL), 핵비확산․핵안보 협력을 위한 MOU 체결

우리 원(KINAC, 원장 이나영)은 미국 원자력 등 에너지 관련 선두 연구기관인 샌디아국립연구소(소장 James S. Peery, 이하 SNL)와 4월 2일, 핵비확산 및 핵안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약정을 통해 양 기관은 전문 지식과 경험을 결합하여 국제 핵비확산·핵안보 노력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에 기여하겠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였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은 △연구 협력, △교육 훈련 협력, △기술 협력 등의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하였다. 특히, 핵비확산 및 핵안보 분야의 교육자료 및 과정 개발,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자산 보호, 소형 모듈형 원전 규제 고려 사항 등에 대한 기술 공유와 이전을 통해 수출입 통제의 투명성을 증진 시킬 예정이다.

이 날, KINAC 이나영 원장은 “SNL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핵비확산과 핵안보 분야의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이번 MOU 체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MOU 체결은 핵안보와 핵비확산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양 기관은 글로벌 핵비확산·핵안보 체제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한편, KINAC은 핵안보, 핵비확산 전문기관으로서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안전조치, 물리적 방호, 수출입 통제 관련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으며, SNL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의 연구기관으로, 원자력 시설의 물리적 방호 및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전원자력연료,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3년 연속 ‘최우수’ 달성
  • 한전원자력연료(사장 최익수)는 ‘2023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에서 3년 연속 최고 등급인 ‘최우수’를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 중소벤처기업부와 동반성장위원회는 공공기관이 국내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장려하고자 매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평가는 공공기관의 동반성장 추진실적과 협력 중소기업의 체감도 조사 결과를 합산하여 2020년부터 5개의 등급(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개선)으로 구분하고 있다.
  • 평가 대상인 134개 공공기관(공기업형 32개, 준정부형·기타형 102개) 중 한전원자력연료는 준정부형·기타형에 속하며 지난 2021년, 2022년 평가에 이어 2023년도에도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며 3년 연속 최고 등급 달성이라는 쾌거를 이뤄냈다.
  • 한전원자력연료는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이 공공기관의 지속성장에 필수조건이라는 CEO의 강한 의지 아래 ‘중소기업의 성장이 곧 우리 회사의 성장’이라는 동반성장 비전을 내걸고 다양한 동반성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2023년도 주요 추진 활동으로 중소기업의 자체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경쟁력 강화, 생산성 향상 및 판로개척 지원과 상생협력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성과 및 협력이익 공유, 경영안정화 지원, 기업성장응답센터 등 소통채널 확대를 전개해 왔다.
  • 한전원자력연료 최익수 사장은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면밀히 검토·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동반성장 및 지역협력 사업을 추진할 것이며, 이를 통해 협력 중소기업 및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한전원자력연료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